Friday, February 05, 2016

선의 진부성The Banality of Good


선의 진부성(The Banality of Good)
나의 새해가 사실상 <<이상문학상 수상집>>으로부터 시작한 것은 대학시절부터다. 매년 1월이 되면 적어도 세 번은 동네 서점에 들러 출간을 기다려야 손에 쥘 수 있는 책이다. 유학시절에도 해외주문(?)을 통해, 1월의 어느 날 새해 의식을 치르는 마음으로 표지부터 한 장 한 장 넘겼던 기억들이 나의 열정(passion, 그러니까 내면화된 아픔)의 흔적으로 남아있다. 한참 문학공부를 할 때는 감식안에 의해 걸러진 완성도 있는 작품들일 것이라는 믿음으로 기다렸던 것 같다. 그러는 사이 독서의 폭이 좁아지면서 어느덧 한 해에 구입하는 유일한 한국어 책이 돼버렸고, 한동안은 한국소설의 새로운 감수성을 따라잡기 위해 읽다가 이제는 변화하는 한국어 감각을 주목하며 읽는다. (여담이지만 한국어 문체를 망가뜨리는 주범은 바로 생각 없이 언어를 구사하는 학자들임을 알아챈 요즘은 한국어 논문은 심사조차 피한다. 오히려 내용은 빈약할지라도 톡톡 튀는 언어감각의 학생들이 쓴 텀페이퍼가 나를 훨씬 들뜨게 한다.)
이번 40회 이상문학상 수상집에 실린 작품들은, 돌이켜보면 한동안 영 개운치 않았던 실험 단계를 벗어나 소위 '탄탄한 서사구조'의 경지를 보인다. 리비스(FR Leavis)가 제시한, 이야기로 완결되지 못한 작품은 결국 '사소한 것에 집착하고 지루함'에 이른다고 한 진단에서도 말끔히 벗어난다. 엘리엇이 25세가 넘어서도 시를 쓸 수 있으려면 '역사의식'이 있어야 한다고 말할 때 역으로 우리는 누구나 한 때 시인이기도 하고 소설을 쓸 수도 있다고 이해된다. 이제 더 이상 시도 쓸 수 없고 소설가도 아닌 우리에게서 이 시대에 잘 된 작품들이 섬광처럼 역사의식을 일깨운다.
금년 수상작 중 윤이형의 <이웃의 선한 사람>은 통렬하다. 보통의 우리와는 정반대로 과거는 흐릿한 여러 갈래의 가능성으로 느끼지만 먼 미래조차 명확한 모습으로 '기억'하는 주동인물의 설정이 알레고리임을 일깨운다. 아직 결혼도 하지 않은 이 이웃의 선한 사람은 자신의 손녀가, 잊을 만하면 다시 터지는 대형참사에서 죽게 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결혼하고 아이 낳고 정해진 길을 가듯 하루하루 살아갈 수밖에 없다. 그의 운명은 기시감으로 다가온다. 그의 딸, 그러니까 죽은(아니, 죽을) 손녀의 엄마는 말한다, 자기 때문에 아이가 죽었다고! 이유인즉, 2년 전 비슷한 사고로 많은 아이들이 죽었을 때 자신에게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은 걸 절대 다행으로 여기지 않고 당한 사람의 마음으로 살겠다고 속으로 '생각만 했을 뿐'인데... 그녀는 울부짖는다.'제가 그 생각을 한 게 잘못된 거예요? 그렇죠? 그게 잘못이죠?'(251) 미안해서 동정도 할 수 없었던 종류의 불행이, 기껏 동정 이상이라고 보였던 반응이 자신의 현실로 되돌아오자 위악으로 맞선다. 그런 생각조차 못하는 무관심에 대비돼 말이, 아니 생각이 씨가 되는 삶이다! 섬뜩하다. 우리 사회는 무관심보다는 이런 선한 '생각'의 이웃이 절대 다수를 이룬다. 그런 사회의 미래를 뻔히 '보면서' 오늘도 '생각만'으로 꾸역꾸역 살아가는 우리는 도대체 어떤 군상인가? 젊은 작가 윤이형은 화가 나있지만 그의 단단한 언어는 냉정하다.
새해 2016(정확히는 2015) 어떤 예민한 더듬이가 포착한 우리의 모습은 무관심도 악의 평범성(the banality of evil)도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우리 보통사람의, 아무 새로울 것도 없고 아무 놀라울 것도 없이 진부하기 그지 없는 선(the banaliy of good)의 모습이다. 그해 4월 많은 아이들이 살아 돌아올 수 없음이 점점 분명해지기 시작할 때 나도 한 주 동안 매 번 수업마다 존 던(John Donne)의 종교적 명상문("Meditation XVII")을 학생들과 함께 읽음으로써 부지불식 간에 그 진부한 선을 실천하고 있었다.

Wednesday, July 25, 2012

TopCat at Freud Museum, London

For Sale: Baby Shoes, Never Worn

한번도 신겨보지 않은 신발을 팔겠다니, 무슨 사연인가! 가난하지만 행복했을 엄마아빠의 모습이 그려진다. 아이가 태어나길 기다리던 어느날, 어쩌면 길가다 예쁜 아기 신발이 눈에 들어와 기쁜 마음으로 산다. 아기가 태어나고 어쩌면 똑같은 신발을 선물받게되자 어색한 미소로 고마워 한다. 유아용품 가게에 가서 다른 것으로 바꿀까도 생각하지만 현금이 좋겠다고 생각한 것이리라. 아니면 일이 잘못되어 어쩌면 그 신발이 더 이상 필요없게 된다. 그 신발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엄마에겐 고통이 되자, 그들은 낮은 목소리로 한참을 이야기한다. 포장 그대로 쓰레기통에 살짝 넣어버릴 수도 있다. 그러나 다시 생각하니 어떤 모르는 아이가 신고 아장아장 걷는 모습도 나쁠 것 같지 않다고 생각했으리라.

이 문구는 헤밍웨이(Ernest Hemingway)가 쓴 가장 짧은 소설로 회자된다. 어느날 헤밍웨이는 다른 작가들과 함께 맨하탄의 알곤킨(the Algonquin)의 원탁에 앉아 점심식사를 하던 중 누군가의 제안으로 짧은 소설쓰기 내기에서 식탁의 냅킨에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시작과 중간, 그리고 끝이 있는 이 여섯 단어의 소설을 써서 우승했다고 한다.

어쩌면 어떤 호사가가 지역 신문광고에서 읽고 이 문구의 문학성(literariness; literarite) 때문에 꾸며낸 이야기일 가능성이 더 크다. 그 간결한 효과가 발칙하게도 헤밍웨이를 연상시킨 것이리라.
문학은 본질상 상상력을 자극하는, 연상력있는 함축적 표현을 추구한다. 우리는 일상 언어행위가 시적 경지에 이를 경우 그 심미적 거리를 두고 문학이라 부른다.

Tuesday, July 24, 2012

자유시(Free verse; Vers libre)

A.
전통적인 의미에서 시가 압운체계(rhyme scheme)와 명시적 운율(meter)을 바탕으로 하지만, 자유시는 무압운, 비운율의 ‘열린 형식’의 시이다. 자유시란 운율시(metrical verse)의 파생 장르(즉, 시)이면서도 ‘운율 피하기’(즉, 자유)라는 의미에서 용어상 모순이지만 동시에 다양한 작시법이 혼합된 형태이다. 자유시는 시의 일반 규칙과 제약을 거의 받지 않고, 그 시적 효과를 주로 개별적 리듬과 불규칙해 보이는 시행에 의존한다. 자유시는 압운체계가 없다는 점에서 무운시와 유사하지만, 무운시와는 달리 약강5음보의 운율형식을 따르지 않는다. 또한 자유시는 행 배열이외에는 산문과 본질적 차이가 없지만, 압운이 없지만 내재율을 가진 운문이라는 점에서 산문체 리듬에만 의존하는 산문시(prose poems)와도 다르다. 자유시는 기본적으로 시행이 리듬 단위이며, 규칙적 음보와 뚜렷한 압운이 없기 때문에 구문이나 억양과 같은 내적 논리에 따라 유기적으로 구성된다. 연 구성 또한 의미 단위로 이뤄짐에 따라 길이가 제각각이고 시각적으로 특이해 보이는 경우도 있다. 그 결과 자유시는 극단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띠는데, 이를 통해 실제 삶의 경험을 보다 사실적으로 재구성한다. 삶의 지각, 인식, 정서, 상상의 과정을 복제, 투사, 재현 하려는 자유시 정신이 시인과 독자를 끊임없이 매료시키는 요소이다. 즉, 자유시는 정해진 형식이나 외적 규범이 없어서 시인의 개성이 보다 분명히 확보되고, 시의 속도, 강세 등을 창출하기 위해 독자의 개입이 보다 적극적으로 요구되는, 오늘날 가장 보편적인 유형의 시이다.
B.
자유시는 인류의 구어 전통에 바탕하여 규칙적 운율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세계 문학사상 일찍부터 발견되는 가장 오랜 시 형식 중 하나로서, 서정시 전통에 그 맥이 닿아있다. 민족에 따라 서로 다른 역사적 조건을 갖고 있는 만큼 그 스펙트럼이 넓고 운율 배경도 다양하다. 그럼에도 자유시는 압운체계와 운율형식이 지배해온 문학사에서 오랫동안 억압되어 오다가 20세기 이미지즘, 아방가르드 같은 모더니즘 자유시로 ‘억압의 귀환(the return of the repressed)’을 이뤄낸다. 용어상 자유시는 엄격한 전통운율로부터 부분적으로 자유로워진, 17세기 프랑스 라퐁텐(La Fontaine)과 그의 동료들의 해방된 시(vers libéré)를 기원으로 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자유시라는 명칭은 대체로 파격적 기법으로 불규칙한 운율을 시도한 귀스타브 칸(G. Kahn)이나 쥘 라포르그(J. Laforgue) 등과 같은 19세기말 프랑스의 시인들의 시작 활동에서 기인한다. 영어권에서 자유시는 오래전부터 비하의 표현으로 쓰이다가 20세기 초 문학운동의 구호로 등장한 후 중립적인 기술어(記述語)가 되어 오늘에 이른다.
영문학에서 현대적 의미의 자유시는 이미 1611년 흠정역 성경(the King James Bible)에 나타난다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그중 시편(Psalms)과 아가서(the Song of Solomon)는 고대 히브리 시가의 병행구조와 카덴스(cadence)를 산문 영어로 모방한 것이다. 특히 시편은 1380년대 위클리프(J. Wycliffe)이래 오늘날까지 다양한 형태의 자유시로 번역돼왔다. 이와 같은 성경의 문체는 18세기 중반 크리스토퍼 스마트(Ch. Smart)의 장편 자유시 『어린양을 기뻐하라』등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자유시는 19세기 많은 영미 시인들의 형식실험을 통해 발전된다. 윌리엄 블레이크(W. Blake), 매슈 아널드(M. Arnold) 등은 규칙적 음보에서 벗어난 문체를 구사하고, 크리스티나 로제티(Ch. Rossetti), 코벤트리 팻모어(C. Patmore), 브라운(T. E. Brown) 등은 정해진 격식이 없는 압운시를 시도했다. 그중에서도 미국시인 월트 휘트먼(W. Whitman)은 현대 자유시의 중요한 선구로 알려진 비운율시 『풀잎』을 썼다. 그의 문체 역시 성경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특히 강세와 음절수의 규칙을 무시한 다양한 길이의 시행으로 세상을 놀라게 했다. 그는 구어에 바탕한 형식을 통해 예기치 못한 곳에 강세를 둘 뿐 아니라 문법적 강조, 평행구조, 전후 조응(anaphora, 특히 첫머리 어구반복), 산문처럼 긴 시행 등을 영시에 되살렸다. 반복되는 음보를 통해 리듬효과를 창출하는 전통시와는 달리 그는 특정 낱말, 구, 절, 시행 등 의미 단위의 반복, 균형, 변주 등을 효과적으로 활용했던 것이다. 휘트먼 이후 영어권 자유시는 대체로 번역 성경에 기원한 긴 시행으로부터 짧은 대화체로의 이행 과정이었다. 그밖에도 전통적 작시법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는 낭만주의 이래 대부분의 서구 민족문학의 주요 경향을 이룬다. 러시아의 수마로코프(A. P. Smarokov), 푸시킨(A. S. Pushkin), 독일의 괴테, 횔더린(F. Hölderlin, 프랑스의 랭보(A. Rimbaud), 아폴리네르(G, Apollinaire) 등이 민족 고유의 운율에서 근본적으로 벗어난 시를 썼다. 특히 독일의 하인리히 하이네(H. Heine)는 연작시 「북해」를 통해, 그리고 랭보는 산문모음집 『일루미나시옹』을 통해 자유시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오늘날 자유시는 대체로 19세기말 프랑스의 상징주의시와 1차세계대전 전후 아방가르드 자유시를 의미한다. 이 시기의 자유시는 자의식적이고 자기선언적이며 운율에서 보다 철저히 자유로워지려는 시도였다. 20세기 초 영어권의 이미지즘 시인들은 습관적으로 시행과 문법적 단위를 일치시켰고, 이 운동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에즈라 파운드(E. Pound), 엘리엇(T. S. Eliot) 등도 다양한 형태의 자유시를 실험했다. 이후에도 앨런 긴스버그(A. Ginsberg)나 로버트 블라이(R. Bly)의 목록시(the catalog verse), 칼로스 윌리엄즈(W. C. Williams)의 변동음보(the variable foot) 이론, 찰스 올슨(Ch. Olson)의 투사시(the projective verse) 등을 통해 자유시를 실천하고 또한 이론적으로 옹호했다. 문학사에서는 아방가르드 자유시는 불어권의 랭보, 브르통(A. Breton), 에메 세자르(A. Césaire) 등과 칠레의 스페인어 시인 파블로 네루다(P. Neruda), 영어권의 찰스 톰린슨(Ch. Tomlinson) 등이 대표한다.
20세기 자유시는 그 다양성 때문에 일반화할 수 없다. 그럼에도 많은 유형의 자유시에는 운율시 못지않은 규칙성이 존재하는데, 전통시와의 차이점은 단지 그 규칙이 개별시의 언어와 텍스트 논리에 바탕한다는 점이다. 오늘날 자유시는 내재율이 지배적이지만, 시인들은 필요에 따라 해방된 형식을 통해 운율시와 자유시 사이를 수시로 넘나든다. 심지어는 20세기말 신형식주의로 알려진 몇몇 시인 비평가들처럼 전통적 작시법의 음보, 압운, 연 형식 등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C.
자유시는 그 대중성과 성취에도 불구하고 그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지적도 있다. 실제 시작 과정에서 특별한 형식적 제약이 없고 개별적, 내적 통제에 따라 전개되는 자유시가 갖는 곤경을 프로스트는 “네트 없이 테니스 치기”(playing tennis without a net)라는 은유를 통해 드러낸다. 그러나 자유시가 여전히 시로 인식되는 한, 나름의 구조와 리듬을 가지며 전통적인 운율시의 경우와 동일한 용어 및 방법으로 논의될 수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엘리엇의 지적처럼, “시를 잘 짓고자하는 자에겐 어떤 시도 자유롭지 않다”고 할 것이다. 자유시는 외부에서 주어진 규칙이 없다 해도 여전히 어구반복, 약하나마 압운, 평행구조, 대조, 콤마 등을 통해 반복과 반향을 일으켜 리듬을 형성하고, 유사한 이미지나 낱말을 나열하여 음악적 효과를 내기 때문에 문장강세 운율(intonational metre)이라 불리기도 한다. 그럼에도 자유시는 운율 규범의 의도적 배제와 문장을 문법 혹은 의미단위로 분절한 시행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유시에서는 구조상 반복 못지않게 일회적 우연성이 중요하며, 시적 효과를 문법과 서로 다른 길이의 시행이나 연 사이의 긴장에 의존한다. 그 결과 자유시는 주어진 규범보다는 개별 시의 임의적 요소가 부각되고, 주로 청각에 기대는 정형시와는 달리 시마다 서로 다른 시각적 공간을 창조한다. 자유시는 시형식을 유지하면서도 시마다 독특한 형태와 예측 불가능한 구조의 역동성을 통해 한편으로 시 장르의 연속선상에서 놓이면서 다른 한편 수사적 측면에서 끊임없는 ‘낯설게하기’를 시도한다.
대부분의 자유시는 전통시처럼 시행의 관행을 따르지만, 시행의 길이를 규제하는 원칙이 없기 때문에 서로 다른 길이를 통해 다양한 효과를 창출한다. 문법, 의미, 시각 단위의 어구로 시행을 구분함으로써 일률적인 정형시행의 단조로움을 벗어나 보다 짜임새 있는 구성이 가능하다. 반면 상투적 문법, 의미, 시각 단위 안에서 시행갈이를 폭력적으로 시도하는 경우는 전치사나 조사와 같은 기능어를 강조하여 파편화 혹은 탈자동화된 불연속적 읽기를 요구한다. 대체로 짧은 시행이 단절효과를 일으켜 흐름을 조절하고 무게를 보태는 반면, 긴 시행은 5음보 같은 전통적 시행의 한계를 넘어서는 탄력을 준다. 길이가 짧든 길든 등가의 시행으로 이뤄지는 자유시에서는 대체로 어떤 두 행의 길이도 일치시키지 않는데, 확장된 서사시나 짧은 서정시에서 긴 시행과 짧은 시행을 교차시켜 대화적 효과를 낼 수 있다.
자유시에서는 시어 또한 소리와 시각효과로 풍부한 의미를 형성하지만, 그 효과는 대체로 일회적이다. 가령 자유시에 압운이 나타난다 해도 시 전체 구도로서가 아니고 단어와 시행의 중간처럼 예상치 않은 곳에서 우연적 상황으로 종종 발생한다. 반면 자유시는 시각적 효과를 위해 한 페이지 전체에 걸쳐 시를 배치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말라르메(S. Mallarmé)는 『주사위 던지기』에서 새의 깃털모양을 제시하기 위해 펼칠 수 있는 확장된 페이지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경우 여백이 텍스트를 둘러싼 공간으로서 멈춤, 분리, 침묵의 이미지 등을 창출한다. 또한 자유시에도 다른 시의 경우처럼, 인쇄 기술과 새로운 시각 매체의 발전으로 시각적 장치에 영향을 받아왔다. 자유시는 타자기 자판이나 조판 상 가능한 상징이나 문자를 이용함으로써, 실제로 운율파악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운율을 파괴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Meyer Howard Abrams, Geoffrey Harpham, A Glossary of Literary Terms, Thomson Wadsworth, 2005.
Antony Easthope, Poetry as Discourse, Methuen, 1983.
Thomas Stearns Eliot, “Reflections on Vers LibreSelected Prose of T S Eliot, Ed. Frank Kermode, Faber 1975.
Harvey Seymour Goss, Sound and Form in Modern Poetry, U of Michigan P, 1964.
Alex Preminger, Terry Brogan et al (eds.), The New Princeton Encyclopedia of Poetry and Poetics, Princeton UP, 1993.

무운시(無韻詩; blank verse; vers blanc)

A.
일반적으로 시의 두 요소가 운율(meter)과 압운(rhyme)이라면, 무운시는 독특하고 고유한 운율은 있지만 압운이 없는 정형시다. 압운은 나름의 장점과 아름다움이 있지만 실제 시작(詩作)에서는 운율 구조를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무운시는 압운체계가 없다는 점에서 자유시와 유사하지만 운율이 드러나지 않는 ‘열린 형식’은 아니라는 점에서 자유시와 구별된다. 원래 이탈리아 시에서 제한요소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던 무운시는 영시에서는 문자 그대로 압운의 부재만을 의미한다. 무운의 약강5음보(iambic pentameter) 운율에 바탕한 무운시는 영시 전통에서 16세기 이래 가장 보편적이고 영향력 있는 시형식이다. 실제로 영시 전체의 3/4 정도가 무운시로 알려졌는데, 다소 느슨한 형태까지 고려한다면 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다. 일상의 구어에 가까운 리듬의 무운시는 시극이나 서사시, 또는 장편 명상시에 주로 쓰인다.

B.
무운시는 이탈리아 11음절시(endecasillabo 또는 hendecasyllables) 가 압운 없는 형태로 변형돼 르네상스 시대에 처음 등장한 뒤 영국에 전해져 무압운 10음절 약강5음보 시로 정착했다. 무운시의 운율은 고전시대 약강 3음보에서 기원하는데, 고전시가인 영웅 서사시의 6음보의 어조와 중량감을 르네상스 이후 유럽문학에서 민족어로 표현하려는 일종의 모더니티 기획이었다. 이탈리아 문학에서 11음절시는 압운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반행마다 한 번의 강세를 두었으며 때로는 9, 10음절의 시행도 허용했다. 그러나 11음절시는 당시 매우 대중적이고 문학사상 획기적인 성취였지만 이탈리아 문학의 주요 시형식으로 떠오르지는 못했다. 프랑스 등지에서도 이탈리아의 무운 시작에 영향을 받아 나름의 실험을 시도하지만 낱말 강세(word-accent)가 미약한 언어에서는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 반면, 영국에서는 셰익스피어와 밀튼(J. Milton)의 성취로 운문극의 중심 운율로 부상하고 시문학 전반에서 표준양식이 되었다.

영시에서 무운시 논의는 사실상 르네상스 이후 영시의 역사에 대한 논의에 다름 아니다. 무운시는 16세기 중반 와이엇(T. Wyatt) 경과 함께 이탈리아 정형시 소네트 형식을 영국에 도입했던 서리 백작 하워드(H. Howard가 시도한 베르길리우스의『아이네이스』번역에서 비롯한다. 그는 이탈리아의 몰자(Molza)가 『아이네이드』의 번역에서 구사했던 ‘압운을 무시한 자유로운 시’(versi sciolti da rima)를 모방했다. 그러나 서리 백작은 무운시의 도입 당시부터, 이탈리아 11음절시와는 달리, 매 시행마다 10음절과 약강으로 교차하는 강세를 엄격히 지켰다. 이는 이미 150여년 전 초서(G. Chaucer)가 10음절 시행을 정착시킨 전례를 따른 것이지만, 15세기 중반 음운체계의 변화로 인해 초서의 운율이 상실된 후라서 그가 일상 영어의 자연스런 리듬에 가장 가까운 약강 음보를 처음 시도했던 것이다. 뒤이어 새크빌(T. Sackville)과 노튼(T. Norton)의 비극 『고보덕(Gorboduc)』에서 단조로운 무운시를 구사한 이래 말로우(C. Marlowe)와 셰익스피어가 무운시를 극형식으로 확립했다. 셰익스피어는 거의 모든 작품에서 서로 다른 목소리와 어조로 대부분의 모든 인물들의 대사를 약강5음보의 무운시로 씀으로써 그 가능성을 확인했다. 또한 시문학 분야에서도 밀튼이 『실낙원』을 비롯한 모든 서사시를 무운시로 쓴 이래 주된 시형식이 되었다. 그는 무운시의 유연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복잡한 구문구조의 효과를 극대화했다.

1660년 왕정복고 이후 극문학에서 희극은 주로 산문으로 쓰였지만 비극에서는 여전히 무운시가 18세기까지 이어졌다. 시문학에서는 17세기와 18세기 초에 영웅시격2행연구(heroic couplet)가 유행하자 무운시는 일시적으로 침체했지만 18세기말부터 다시 낭만주의 시인들과 빅토리아조 시인들에 의해 주요 형식으로 채택된다. 먼저 18세기말 자연시의 선구인 톰슨(J. Thomson)이 밀튼을 모방하여 대부분의 장시를 무운시로 구사함으로써 낭만주의 시 혁명을 이끈다. 워즈워스(W. Wordsworth)는 자전적 서사시 『서시』를 비롯한 주요 작품에서 보다 개인적 어조와 구어체를 무운시로 구현하고, 브라우닝(R. Browning)이 『반지와 책』등에서 구사한 극적 독백이 모두 낭독 어조와 일상의 구어 리듬을 무운시로 포착한다. 테니슨(A. Tennyson) 또한 『왕의 목가』등을 무운시로 썼다. 20세기에 들어서는 많은 시인들이 자유시로 전향했음에도 불구하고 예이츠(W. B. Yeats), 파운드(E. Pound), 엘리엇(T. S. Eliot), 오든(W. H. Auden), 프로스트(R. Frost), 스티븐스(W. Stevens) 등 주요 시인들이 무운시의 전통을 이었다. 특히 프로스트가 장편서사와 대화시에서 의미의 소리를 포착하기 위해 무운시를 성공적으로 구사한 반면, 엘리엇은 느슨한 무운시 『황무지』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무운 시극의 시도에서는 자의식적이고 시대착오적 느낌이다. 이처럼 영시에서 무운시는, 그 변형된 유형까지 고려하면 오늘날에도 여전히 두드러진 시형식이라 할 것이다.

무운시는 영시 이외에도 18세기 후반 독일 시에서 커다란 성공을 거뒀다. 비란트(C. M. Wieland)가 비극 『귀부인 요한나 그레이』를 무운시로 쓴 이래 레싱(G. E. Lessing)의 『현인나탄』이 가장 영향력 있는 무운 시극이 되었다. 괴테는 자신의 산문작품 『타우리스섬의 이피게니에』와『타소』를 무운시로 다시쓰기를 시도했고, 쉴러(F. Schiller)는『돈카를로스』를 무운시로 썼다. 쉴레겔(F. von Schlegel)은 무운시로 쓰인 셰익스피어를 번역함으로써 무운시의 틀을 확립했다. 독일의 무운시는 바이마르 고전주의의 표현 형식으로서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19세기 내내 독일 시극의 표준 운율이 되어 호프만스탈(H. von Hofmannsthal)의 서정시극에서 그 절정에 이른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는 릴케(R. M. Rilke)가 『두이노의 비가』의 일부를 무운시로 쓴 이래 서정 무운시는 점차 자유시로 대치되고, 무운시극은 산문으로 대체된다. 그때부터 전통적 무운시 운율은 배경으로만 가끔씩 모습을 드러낸다. 그 밖에 무운시는 러시아에서도 일정한 성취를 이뤘는데, 쉴러의 극작품 번역에서 처음 도입된 이래 푸시킨(A. Pushkin)이 성공적으로 구사했으며, 그 이후에도 서사와 성찰시에서 자주 나타난다.

무운시는 고전시대 서사시를 뒤이은 운문양식으로서, 르네상스 시대에 등장하여 심화되는 모더니티의 다양한 양상을 구현해냄으로써 오랫동안 강력하면서도 유연한 시형식으로 간주되었다. 특히 영문학에서는 진지한 주제를 다루는 데 적합한 장치로 여겨왔다. 그러다가 19세기 말이래 아방가르드 자유시의 등장과 성공으로 무운시는 그 위상이 점차 흔들리고 있다.

C.
무운시는 압운시와는 그 구조가 다르다. 압운시가 대체로 동일한 수의 시행과 규칙적인 길이, 운율형식, 음보 등을 갖춘 연(stanza) 구분에 의존한다면, 보다 자유로운 무운시는 서로 다른 길이의 시단락(verse paragraphs)으로 구성된다. 압운체계는 비교적 짧은 길이의 시나 정형시에서 엄격할 수 있지만, 비극이나 서사시처럼 장시에서는 장애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는 암기의 편의상 두운을 구사하기도 했다. 반면, 무운시는 압운이 없어 어순이 상대적으로 자유롭기 때문에 의도적 구문도치, 중간휴지, 고전 서사시의 전치 효과 등이 가능한 문체적 장치이다. 또한 이행연구(couplet)나 각운을 갖춘 연과 같은 제약에서 벗어나 장편의 시작(詩作)에 용이하여 자연스럽게 서사시나 시극에 적합한 수단이 된다.

무운시란 이론적으로는 약강의 2음절 5쌍으로 구성된 10음절이 한 행을 이루는 시형식이다. 무운시의 바탕인 약강5음보는 영어의 일상 구어투에 가장 가까운 리듬으로 알려졌다. 가령, 기계적 반복음인 시계소리가 한국어에서는 낱말강세가 미약한 ‘똑딱똑딱’으로 느껴지는 데 반해, 영어에서는 ‘틱톡 틱톡’으로 뒤 음절에 강세가 분명한 ‘약강’ 리듬으로 들린다. ‘똑딱’으로도 ‘틱톡’으로도 들을 수 있는 시계소리가 실제 음이 아니라면 영어에는 약강 리듬 감각이 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약강5음보는 ‘약강’이 자연스런 영어의 기본 리듬이고 사람들이 한숨에 말할 수 있는 길이가 대체로 10음절(5음보)이라는 사실을 의미한다. 그러나 영어에 끼친 무운시의 영향은 일상영어의 자연스러운 리듬이기 때문에 무운시가 약강5음보를 구사하는지 아니면 역으로 무운시가 채택한 운율이 영어의 자연스런 리듬형식으로 정착했는지를 분간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아무튼 무운시는 시극의 대화나 극적 독백처럼 극형식에서 특히 많이 구사될 만큼 일상어와 친화성이 있다.

그러나 무운시가 일상어 리듬감과의 유사성만으로 영시의 주도적 형식이 된 것은 아니다. 대체로 약강5음보라고 해도, 수많은 변이와 굴절이 있는 느슨한 일상 영어에 비해 무운시의 리듬은 격식과 규칙성이 강하다. 시적 형식은 내용을 형성하고, 시적 경험을 일상과는 구별지으며 경험현실에 질서를 부여한다. 게다가 무운시가 약강5음보라 해도 실제로는 완벽히 약강 운율일 수도 엄격히 10음절일 수도 없다. 무운시가 약강 운율만으로 구성된 경우는 거의 불가능할 뿐 아니라, 가능하다 해도 그 단조로움 때문에 바람직하지도 않다. 무운시는 약강격(iambic)을 기본으로 강약격(trochee), 약약강격(anapest), 강약약격(dactyl) 등 여러 음보가 결합됨으로써 각 행이 9음절에서 11음절에 이르지만, 대체로 5개의 강세음절이 있어 사실상 5음보를 유지한다. 대체로 한 편의 시에서 그 시행이 5음보보다 적으면 노래처럼 들려 진지한 소재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기에는 가볍고, 5음보가 넘으면 중간휴지가 발생하여 작은 단위로 나뉘기 십상이다. 가령 6음보(hexameter)의 시행은 두 개의 3음보(trimeter)로, 7음보(heptameter)는 4음보(tetrameter)와 3음보로 갈린다. 이처럼 무운시는 일정한 길이의 시행을 확보하면서 한 시행의 운율을 다음 행으로 자연스럽게 이어간다. 이는 짧은 길이나 불규칙한 시행의 자유시와는 달리 서사적 목소리를 분명히 드러내고 독자들이 강하게 몰입되도록 한다.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대시에서는 시행이 보다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오늘날의 정서로는 무운시가 다소 웅변적이고 장중하며 느리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Thomas Stearns Eliot, “Notes on the Blank Verse of Christopher Marlowe” The Sacred Wood: Essays on Poetry and Criticism, Methuen, 1980.
Alex Preminger, Terry Brogan et al (eds.), The New Princeton Encyclopedia of Poetry and Poetics, Princeton UP, 1993.
Robert Burns Shaw, Blank Verse: A Guide to its History and Use, Ohio UP, 2007.

Tuesday, August 01, 2006

TopCat at Seven Sisters, East Sussex

사무엘 존슨(Samuel Johnson, 1709-1784)

작가소개

“지옥에 이르는 길도 선의로 포장된다.” “애국이란 악당의 최후의 도피처이다.” “무릇 남성은 아내가 그리스어를 말할 때보다 식탁 위의 훌륭한 저녁식사에 더욱 즐거워한다.” “바보 말고 누구도 돈 이외의 목적으로 글을 쓰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오늘날에도 친숙한 수많은 경구를 통해 이데올로기라는 말이 등장하기 이전에 이미 성장하는 부르주아 계급의 이데올로기적 기반을 양가적 태도로 간파한 통찰력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흠정역성경(the King James Version Bible)과 셰익스피어 다음으로 영어에 많은 인용어구를 보탠 사무엘 존슨은 영문학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문인(a man of letters) 중 한사람이다. 영국의 18세기후반을 “존슨의 시대”로 명명하게 한 장본인인 그는 또한 당시 확장되는 부르주아 계급의 대표적인 자수성가형의 삶을 살면서 영국적 요소(English- ness)의 한 자락을 이루는 아마추어리즘의 전형으로서 경험적, 실용적, 현실참여적 글쓰기로 일관했다. 이는 세계역사상 시장원칙에 부응하여 독서대중을 위한 글쓰기에 성공한 최초의 현대적(modern) 작가의 예에 해당한다.

존슨은 런던의 북서쪽 100마일에 위치한 리치필드(Lichfield)라는 소도시에서 연로하고 가난한 서적상의 병약한 아들로 태어나 3세 때 시를 쓰는 천재성을 보이며 자라 옥스퍼드대학에 진학했지만 대학생활 14개월 만에 부친의 죽음에 따른 재정상의 어려움으로 중퇴했다(1731). 고향에 돌아와 한 학교의 안내원으로 일하다가 25세에 세 자녀가 딸린 21년 연상의 부유한 과부
(Elizabeth 'Tetty' Porter)를 만나 결혼하여 함께 학교를 설립(1735)하였지만 그에게 학위가 없어서 실패하고 만다. 1737년에 당시 인구 70만으로 유럽의 최대도시인 런던에 훗날 당대 최고의 배우로 성장하는 제자 개릭(David Garrick)과 함께 상경한다. 그는 런던에 매료되어 “런던에 싫증나면 삶 자체에 싫증난 것이다. 런던에는 인생살이가 제시할 수 있는 모든 것이 다 있다”라는 말을 남기지만 그의 초창기 런던생활은 “그럽스트릿(Grub Street)의 문인”으로 상징되는 무명과 빈곤의 세월이었다. 이 시절 그는 커피하우스(Coffee House - 차를 즐겼던 그는 훗날 한자리에서 25 잔의 차를 마시기도 함)의 시대에 성장하는 부르주와지를 겨냥한 『젠들맨의 매거진』(Gentleman's Magazine)과 같은 잡지의 편집에 관여하여 잡문을 써가며 시대적 감각을 형성하는 한편 훗날 그의 명성을 확립할 셰익스피어 전집과 영어사전의 편찬을 기획해나간다. 왕성한 필력으로 문학과 시대상에 대한 최상의 에세이와 명작으로 기억되는 시편 등을 사실상 그의 일인 정기간행물인 『램블러』(The Rambler, 1750-52)와 또 다른 잡지에는 ‘아이들러’(the Idler, 1958-60)라는 필명으로 발표하여 도덕주의자요 문장가로서 자신만의 독자층을 형성해가던 중에도 그가 지극히 사랑하던 아내의 죽음(1752) 등 시련은 계속되고 임종이 임박한 어머니의 장례비를 마련하기위해 쓴 우화(Rasselas, 1759)가 명작으로 남기도 한다. 그러나 영국 역사상 획기적인 사건 중 하나인 사전편찬이 완성(1755)된 후 1762년부터는 왕(George III)으로부터 연금(300파운드)을 받게 됨으로써 존슨은 더 이상 생계를 위한 글쓰기에 매달릴 필요는 없게 된다. 이제 그는 버크(Edmund Burke), 골드스미스(Oliver Goldsmith), 기본(Edward Gibbon) 등 당대 최고의 지식인들과 함께 “문학클럽”(the Literary Club, 1764)을 결성하여 공공영역의 여론을 주도하게 된다. 이 시기에 영문학사상 영원히 기억되는 하나의 사건이 일어나는데 그것은 바로 훗날 그의 평전(The Life of Samuel Johnson, LL.D, 1791)을 써서 전기문학의 위상을 설정할 보스웰(James Boswell)을 만난 일(1763)로서 존슨은 그와 함께 스코틀랜드를 여행(1773)한 후 여행기를 남겨 기행문학의 이정표를 세우기도 한다. 또한 셰익스피어의 작품 편집(1765)을 포함한 그동안 그의 업적이 인정되어 옥스퍼드대학으로부터 박사학위(DCL, 1775)를 받아 ‘존슨박사’(Dr Johnson)라는 영원한 명성을 얻는다. 그 후에도 그는 노년과 평생의 지병(우울증)에도 불구하고 계속하여 시인선집에 서문(1779-81)을 쓰는 등 왕성한 계몽적 비평활동을 통해 많은 추종자들을 거느린 사교적인 삶을 영위하다가 어느 추운 겨울날 죽음을 맞아 웨스트민스터사원에 묻혔다.

돌이켜보면 모더니티가 진전하면서 필연적으로 생산하는 유형의 지식인인 존슨의 경우에는 전기적 사실이 다른 누구보다도 많은 이해의 빛을 던져준다. 그의 생애자체가 시대현상으로서 가장 엄격한 기준으로 평가해도 삶과 문학이 하나였다. 당대는 부르주와 계급의 성장(성인 남성의 60%와 여성의 40%가 읽고 쓸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산문의 위상변화, 기존 후원제도의 와해, 급속한 인쇄산업의 성장 등과 같은 새로운 시대상황으로 인해 문학의 의의와 생산조건을 포함한 문학성(literariness) 전반이 변화 조정되어가고 있었다. 또한 사상사적으로는 일종의 복고적 반동인 신고전주의적 정형화의 시대에서 인간본성의 자연스러움과 상황에 따른 변화 가능성을 배재하지 않는 전기낭만주의가 교차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이 변화의 시대에 그는 시를 포함한 창작, 저널 기고, 편집, 사전편찬, 평전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문학시장에서 독서대중을 위해 상식(common sense)에 바탕을 둔 경험주의적 공공 비평가(a public critic)로서 시대적 관심사에 관여하고 직업작가의 위상을 설정하는 활동을 했다. 이처럼 비평의 상황의존성(circumstantiality)을 체현한 그는 ‘자연’과 ‘인간’, ‘일상언어’ 같은 보편성을 척도로 글을 써서 계몽과 오락을 겸비한 영국적 비평양식을 하나의 문학 장르로 승화시킬 뿐만 아니라 문학논의가 창작이론에서 독서이론으로 전향하는 오랜 비평의 역사에서 큰 획을 그어 사회적으로 비평을 의미생산의 주체로 자리매김한다. ‘형이상학파 시인’이란 표현을 만들어내며 명쾌하고 활기와 재치 있는 운문, 단정한 구도 등를 선호한 그의 기호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간에 이후 영문학의 정전을 형성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날 영문학연구에서 포스트모더니즘 논의의 귀착점이 된 모더니티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의해 관심의 대상이 된 18세기연구뿐만 아니라 현대비평의 출발점을 절대주의적 권력과의 투쟁에서 찾는 시각(Terry Eagleton)에서도 존슨을 논의의 중심에 두는 것은 당연하다.

작품연보

【시, 드라마, 창작】
『아이리니』(Irene, 1737) (운문 비극작품으로 1749년 Drury Lane에서 초연됨)
「런던」(“London: a Poem,” 1738)
「인간소망의 허무함」 (“The Vanities of Human Wishes,” 1749)
『아비시니아왕자 라쎌라스의 인생역정』(The History of Rasselas, Prince of Abyssinia, 1759)
「개릭의 서곡」(“Prologue Spoken by Mr Garrick,” 1747)
「레빗박사를 애도하며」(“On the Death of Dr Robert Levet,” 1783)
【비평】
「세비지의 생애」(“An Account of the Life of Mr Richard Savage,” 1744)
「영어사전 편찬계획」(“The Plan of a Dictionary of the English Dictionary,” 1747)
『램블러』(Periodical essays in The Rambler, 1750-1752)
『어드벤쳐러』(Periodical essays in The Adventurer, 1752-54)
『아이들러』(the Idler essays appearing in The Universal Chronicle, 1758-1760)
『영국시인평전』(The Lives of the English Poets, 1779-81)
【기행문학】
『스코틀랜드서부제도 기행』(A Journey to the Western Islands of Scotland, 1775)
【편집】
『영어사전』(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1755)
『셰익스피어희곡』(The Plays of William Shakespeare, 1765)

대표작
『영어사전』(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1755)
*표제어: 약 40,000 어휘
*인용문: 약 114,000 문장
1746년 거의 무영이나 다름없던 존슨은 상업적 필요를 느낀 5명의 런던 서적상들로부터 사전편찬 의뢰를 받는다. 이 당시 영국에는 외래어(주로 라틴어)와 전문용어의 뜻풀이 사전만이 존재했는데, 경제사회적 변화를 반영한 시대간의 단절뿐만 아니라 지역간, 계층간의 언어사용 차이 등 심한 언어의 혼란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던 존슨은 이와 같이 일종의 계몽적 시대정신의 소산인은 표준영어의 이념을 유지하려는 작업의 적임자였다. 그러나 이미 이탈리아와 프랑스 학술원의 사전편찬 선례가 있었기 때문에 그에겐 비교적 수월한 작업이었다. 프랑스에서는 40명의 학자가 40년의 기간에 걸쳐 완수한 작업을 존슨은 6명의 조수와 함께 9년에 이룰 수 있었고 고전에서 용례를 발췌한 이탈리아 사전의 선례를 따라 시드니(Sir Philip Sidney, 1554-86)이래의 작가들(주로 셰익스피어와 밀턴, 드라이든)로부터 모범적인 인용을 제시한다. 이는 독서배경이 빈약한 성장하는 부르주아계급의 교육열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론이기도 하지만 존슨에게 영어의 ‘황금의 시대’는 특히 16세기말에서 1660년 왕정복고기까지였다. 언어는 항상 변한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그 이후 영어의 변화를 그는 타락으로 여긴다. (이는 훗날 엘리엇TS Eliot과 리비스FR Leavis의 모더니티 인식에 결정적 영향을 준다). 그의 사전이 현대적 관점에서 볼 때 어원의 설명이 부족하고 표준발음의 제시가 없으며 때로는 편견과 시대적 한계를 반영하는 어휘풀이가 눈에 띠지만 훗날 웹스터(Noah Webster)는 존슨의 언어에 대한 공헌을 뉴턴의 수학에 대한 공로와 맞먹는다고 상찬한다. 아무튼 존슨의 기념비적 작업은『옥스퍼드영어사전』(OED)의 선구가 될 뿐만 아니라 그때까지 150년간 최고의 권위를 유지했다.
흥미롭게도 이 사전 역시 시대의 관심과 편견을 고스란히 드러내는데 이에 해당하는 어휘 중 하나로는 ‘public’이 있다. 존슨은 이를 다음과 같이 1. 공개적인, 널리 알려진(open, notorious, generally known); 여럿이 함께 이룬(done by many); 공동체의 이익을 중시하는(regarding the good of the community); 2. 국민(the people), 공개된 견해(open view); 일반적 고지(general notice) 등으로 풀이한다. 유럽에서 가장 먼저 ‘사심없음’(dis- interestedness)을 신조어로 제시했던 시대를 살던 존슨에게는 ‘public’이 사적 혹은 특정 이익과 대조를 이룸으로써 일종의 도덕적 가치가 된다. 그런 의미에서 당시 공중(the public)이란 단순한 사람들의 집단이라기보다는 선이 무엇인지를 아는 사람들로 구성된다고 말할 수 있다. 20세기에 와서 독일 철학자 하버마스(Jurgen Habermas)가 공공영역(the public sphere)의 모델로 제시하게 된 18세기 영국사회에서 존슨은 이미 ‘공적인’(public)이란 개념을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당대적 이해를 제시한다.

「셰익스피어 서문」 (“Preface to Shakespeare,” 1765)
독서 대중이 성장함에 따라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기존의 견해와 자신의 독창적인 해설을 망라한 훌륭한 주석을 덧붙임으로써 공연보다는 읽기용으로 편집된 전8권의 『셰익스피어희곡』(The Plays of William Shakespeare)을 셰익스피어 연구에서 뿐만 아니라 비평사상 괄목할만한 업적으로 만든 유명한 서문이다. 편자들이 자신의 기호에 따라 마음대로 손질한 기존판본들(Nicholas Rowe, Alexander Pope, Lewis Theobald, William Warburton)의 철저한 비교, 대조를 통한 텍스트의 복원을 시도한 본문과 더불어 이 서문은 영문학비평사상 텍스트 비평의 시작이자 최초의 본격 문학비평문이기도 하다. 그동안 확립된 자신의 권위와 유장한 문체로 쓰인 존슨의 서문은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대한 무비판적 숭배를 배격하고 그 장단점에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함으로써 일반적 비평원칙의 제시로 나아간다. 돌려 말하면 존슨은 셰익스피어가 있었기에 당대를 넘어서는 명성을 얻을 수 있었다.
역사적으로는 신고전주의의 완고한 규범이던 시간과 장소의 일치 원칙이 무너지는 시기를 살던 그는 무대 위의 사실적 모습은 인위적 규칙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고 마음속의 상상에 달려있다고 말한다. 존슨은 셰익스피어의 재능을 성격묘사와 인간본질의 진실을 들춰내는 데서 찾음으로써 장르구분을 하지 않는 그에게 면죄부를 준다. 이제 셰익스피어는 학식을 갖춘 시인이라기보다는 생동감 있는 인물을 창조하고 인간정서의 전모를 표현한 “자연의 시인”이란 평가를 영원히 떨쳐버릴 수 없게 된다. 이는 서구 르네상스 이래 계몽주의의 후예인 존슨의 평가인데 그는 “보편적 자연의 정당한 재현만이 많은 사람들을 오래도록 즐겁게 할 수 있다(Nothing can please many, and please long, but just re- presentations of general nature)”고 말함으로써 불변하는 인간본성, 삶의 원리로서의 ‘자연’을 비평적 판단기준으로 제시한다. 이런 기준을 형성하는 데는 “보편적 언어”를 통하여 “보편적 인간성의 진정한 자손들”(등장인물)을 창조함으로서 “풍속과 삶에 충실한 거울”을 비춘 “자연의 시인”셰익스피어가 있었던 것이다.

작품번역
『영미시총서』(탐구당) 등에 존슨의 시 몇 편 번역되어 있음.

국내해설서
이시연. 「쌔뮤얼 존슨」. 『영미문학의 길잡이1: 영국문학』. 영미문학연구회편. 서울: 창비, 2001. 230-39.
정정호. 「사무엘 존슨의 대화적 상상력 - 영국문학비평의 “위대한 전통”」. 『세계화 시대의 비판적 페다고지』. 서울: 생각의 나무, 2001. 224-60.

Wednesday, July 26, 2006

Lecture Note on Benjamin's 'Work of Art in the Age of its Technological Reproducibility'

Walter Benjamin (1892-1940)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its Technological Reproducibility
(Third Version, 1939)


Central Question:

Under the twentieth-Century conditions of capitalist production and reproduction, how has art developed, and how has it been affected by those conditions?

•A shift in attitudes to art a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ical means of reproduction:
Because of technological mass reproduction, art has lost its ‘authenticity’ in the capitalist-oriented culture industry of the 20th Century.
•This loss of authenticity is not so bad, for it democratises and politicises art.

5 main ideas:

1) To an ever-greater degree the work of art reproduced becomes the work of art designed for reproducibility. (256)
2) The film responds to the shrivelling of the aura by artificially building up the ‘personality’ outside the studio. (261)
3) The equipment-free aspect of reality has here become the height of artifice, and the vision of immediate reality has become the Blue Flower in the land of technology. (263)
4) Magician is to surgeon as painter is to cinematographer. (263)
5) On the one hand, film furthers insight into the necessities governing our lives by its use of close-ups, by its accentuation of hidden details in familiar objects, and by its exploration of commonplace milieux through the ingenious guidance of the camera; on the other hand, it manages to assure us of a vast and unsuspected field of action. ... With the close-up, space expands; with slow motion, movement is extended. (265)

In short, the main arguments are:

Culture itself has been transformed into an industry; art has therefore become commodified.
Contemporary culture shows how oppressive ideologies are reproduced and disseminated.
New media technologies such as phonographs, epic theatre, and especially film and photography, not only destroy art’s ‘aura’ but demystifies the process of creating art, making available radical new access and roles for art in mass culture.
The spectator has become a participant, or collaborator, who joins the author in deciding meaning in the production of the work of art. In this process, art is ‘successful’ only when it allows critical contemplation by the viewer. This is the profoundly democratic aspect of these new developments.

Key Concepts: The original vs. the copy
The aura (authenticity)
The mass
The critic/expert
Cult value vs. Exhibition value
Progressive reaction (reactionary or fascist vs. progressive or revolutionary)
Distraction
Dadaism

Discussion Questions
1. What fundamental cultural shift does the mass (technological) reproduction of art initiate by replacing earlier conditions of producing and consuming artworks?
2. What kind of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photography and cinema? Does photography gradually culminate in the moving images of cinema or imply cinema (ie, foreshadow it from the beginning)?
3. What does Benjamin say about the intersection of aesthetics and politics under Fascism?


Introduction: Kunstpolitik or, the Historical Materialist Perspective on Reproduction [251]

The impact on art of the mass technologies of reproduction (photography/ film):
implications on the theory of art
implications on the existing politics of art (Fascist, socialist)
the revolutionary demands on the Kunstpolitik

The task of Marxist historico-dialectical materialism under advanced modernity:
Theses defining the developmental tendencies of art [as a kind of superstructure] under the present conditions/modes of production [the economic base] can contribute to the political struggle in ways that it would be a mistake to underestimate. [252]
- the manipulations of art in the hands of Fascists (current tendencies)
- the nature of the proletariat art and art as weapon in class struggle
(For the superstructure changes much more slowly than the base, with the effect that cultural phenomena always lag behind the conditions that produce them. For this reason, Benjamin observes the conditions of present culture at the point of their earliest development with an eye for the present state of productive (and reproductive) technologies. He tries to draw attention to changes in the conditions of production as a way of intervening in the process. His theses are, thus, intended as weapons in the war against fascism.)

What would Benjamin argue against the formalist method? Why wouldn’t he accept the way they delineate textual ‘objects’ and then analyse those objects?

I. A Brief History of Reproduction [252]

Reproducibility varies with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Casting and stamping (uniqueness not threatened; limited uses)
Woodcut graphic art (mechanical reproduction of text & images)
Printing as the technological reproducibility of writing
Engraving and etching (images, maps, music) (in the Middle Age)
Lithography (to provide an illustrated accompaniment to everyday life) (in the early 19th C.)
Photography (from hand to eye) (in the late 19th C/early 20th C)
Film (the process of pictorial reproduction could now keep pace with speech)

A qualitative shift around 1900:
Technological reproduction reached a standard that not only reproduced all known artworks, profoundly modifying their effects, but captured a place of its own among the artistic processes. [253]
(Before, the reproduction of an artwork was imitation. Now the reproduction goes beyond 1-1 imitation so much that it is important to think about what it means. When you can have hundreds of lithograph reproductions of almost the same quality of the original, where is the value in the original? And what about those works (such as film) that are made to be reproduced?)
The impact which the reproduction of artworks and the art of film are having on art in its traditional form
What can technological reproduction do? To capture images that escape natural vision (photography)
To put copies of the origin in situations out of reach of the original itself
To produce copies more independent of the original
To depreciate the value of the original

II. Effects of Technological Reproducibility: the Original vs. the Copy [253]

The importance of uniqueness as a prerequisite to authenticity and aura in the original (on whose existence the copy’s reproduction and worth depend):
The technological processes of reproducibility are bringing about the disappearance of das Hier und Jetzt of an artwork, its unique existence in a particular place.
(Detaching the Reproduction from the Original •means we’re attached to a likeness •destroys the ‘aura’ of the original •increases the sense of the universal equality of things)

The Disappearance of an object’s authenticity:
The authenticity of a thing is the quintessence of all that is transmissible in it from its origin on, ranging from its physical duration to the historical testimony relating to it. [254]
(Authenticity is then important and it is measured in space and time. However, the reproduction is ‘freer’ to be placed in situations in which the original cannot be placed.)
· The symptomatic loss of an object’s aura
‘aura’: (unique existence; tied to physical presence; domain of tradition)
- customary historical role played by the works of art
- their ‘ritual function’ in the legitimation of traditional social formations
· With the technology of reproduction the copy is detached from the sphere of tradition (and its originary aura).
- By replicating the work many times over, it substitutes a mass existence for a unique one.
- In permitting the reproduction to reach the recipient in his own situation, it actualises that which is reproduced.
The social significance of film … is inconceivable without its destructive, cathartic side: the liquidation of the value of tradition in the cultural heritage.

Reproduction raises questions about the purpose of art
(Another value of the original is tradition. The reproduction refers the viewer to the original. However all this originality came into crisis with works of art made with the new traditions of technological production, as works of art can be made to be reproduced. As such then art was released from tradition. And art for art's sake was born. It no longer talks about social functions, but it instead talks about itself.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 loss of ritual and the artwork for reproduction also makes it political. The value of art is to be measured in terms of cult value or it's exhibition value.)

How does technological reproducibility destroy the ‘aura’ of a work of art? How does Benjamin explain what he means by the term ‘aura’?
When is it possible to recognise ‘authenticity’? Can there be any authenticity without its destruction in technological reproducibility? Do you agree with the statement that the idea of authentic art only emerge when authenticity is a threatened species of artwork?

III. A Decay of the Aura as the Human Collectives’ Mode of Sense Perception, or Massification [255]

How human sense perception is organized depends on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the decay of the aura can be explained by its social determinants:
· If changes in the medium of present-day perception can be understood as a decay of the aura, it is possible to demonstrate the social determinant of that decay.
(the aura of a natural object as the unique apparition of a distance, however near it may be [255])
(Unlike in the experience of nature, technologically reproduced images, if perfect ones, are missing das Hier und Jetzt of the object which gives it its aura. The difference is like the loss of das Hier und Jetzt of an actor in the passage from stage to screen. But what Benjamin would argue is that cinema makes so much more possible than the stage can do.)
·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f the masses in contemporary life and the desire of the masses to bring things ‘closer’ spatially and humanly and therefore overcoming the uniqueness of every reality by assimilating it as a reproduction (the railway mania, tourist snapshots)
· The stripping of the veil from the object, the destruction of the aura, is the signature [mark] of a perception whose ‘sense of sameness in the world’ has so increased that, by means of reproduction, it extracts sameness even from what is unique. [255-56]
· Field of perception mirrors the field of organization of social life (cf.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statistics)
The alignment of reality with the masses and of the masses with reality [under modernity] is a process of immeasurable importance for both thinking and perception. [256]

Why does the masses embrace the destruction of the auratic quality of works of art?

IV. Art Past and Present: from Ritual to Politics [256]

Tradition is an interpretive framework for an auratic object, but tradition is alive and changeable:
- The embeddedness of an artwork in the context of tradition found expression in a cult (in the service of rituals—first magical, then religious).
e.g., the aura of an ancient statue of Venus both in classical Greece (as an object of worship) and in medieval Europe (as a sinister idol)
- Renaissance distinct historical interpretations of the object: ritual vs. art

A History of the Aura:
- From Art as embedded in Tradition to Technologically Reproduced Art
· The artwork’s auratic mode of existence is never entirely severed from its ritual function.
The unique value of ‘authentic’ work of art has its basis in ritual, the source of its original use value
· The ritualistic basis, however mediated it may be, is still recognisable as secularised ritual in even the most profane forms of the cult of beauty.
· The Renaissance: (Art emancipated from ritual)
Secular worship of beauty developed and prevailed for the following three centuries
(the ritualistic basis in its subsequent decline but art remains auratic)
· The mid 19th C: (Criterion of authenticity does not apply)
l’art pour l’art = a theology of art (a negative theology, in the form of an idea of ‘pure’ art, which rejects not only any social function of art but any definition in terms of a representational content)
· The late 19th C: (photography emerging at the same time as socialism)
The work reproduced becomes the reproduction of a work designed for reproducibility [256];
The criterion of authenticity ceases to be applicable to artistic production and the whole social function of art is revolutionised [256-57]
(Instead of being founded on ritual, it is based on a different practice: politics)
· The 20th C: massification (Art is then based more on politics)

Why is Benjamin so opposed to l’art pour l’art? (And what relationship between producer, receiver, and art object does this doctrine maintain?)

V. From Cult Value to Exhibition Value: A Quantitative Shift Led to a Qualitative Transformation [257]

Two polar types of value in the reception of artworks and the ability to reproduce objects through different methods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Cult value decreases: The work of art was created as an instrument of magic (ie, a religious object)
Artistic production begins with figures in the service of a cult.
- their presence mattered, not their being seen (Altamira cave paintings)
With the ability to reproduce objects, they would have to be kept out of sight in order to maintain their cult value
Absolute emphasis on the cult value with limited reproducibility in prehistoric times

Exhibition value increases: The instrument of magic came to be recognised as a work of art.
With the emancipation of specific artistic practices from the service of ritual, the opportunities for exhibiting their products increase (in museum and inevitably in cinema).
- The scope for exhibiting artworks has increased enormously with the various methods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 Through the absolute emphasis on its exhibition value, the work of art becomes a construct with quite new functions (e.g., the artistic value).
Photography and film are the most serviceable vehicles of massification, or displacement of cult value.
Art assumes entirely new functions in circulation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art created for its cult value and art produced for its exhibition value?

VI. Art at the Crossroads of Cult Value and Exhibition Value: Photography and Film [257]

Exhibition value in photography drives back cult value on all fronts:
The human countenance (the portrait) as a vestige of cult value in early photography (the cult of remembrance of dead or absent loved ones) [257-58]
- In the fleeting expression of a human face, the aura beckons from early photographs for the last time. [258]
As the human being withdraws from the photographic image, exhibition value for the first time show its superiority to cult value
- Atget around 1900 – photographs of deserted Paris streets
(scenes of crimes to establish evidence—photographic records—hidden political significance—a specific kind of reception—no fee-floating contemplation)
- Illustrated magazines (captions are introduced as directives to images/altogether different from the titles of paintings)
- Film (in which the directives given by captions are even more precise and commanding) in which the meaning of each single picture appears prescribed by the sequence of all the preceding images

VII. The Ill-Considered Standpoints on Photography and Film (Contradictions of Film and Art) [258]

The 19th-C dispute over the relative artistic merits of painting and photography: Is photography art?
(an expression of world-historical upheaval)
· If the age of technological reproducibility separated art from its basis in cult, all semblance of art’s autonomy disappeared forever.
-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transformed the entire character of art forever. [258]

The early 20th-C disputes on the nature of film
(a desire to annex film to ‘art’ and to attribute elements of cult to film) [259]
- A sacred and supernatural significance or the sterile copying of the exterior world?
· Film = a step further in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close to reality
Film has ‘its unique ability to use natural means to give incomparably convincing expression to the fairylike, the marvellous, the supernatural (Werfel)’.
Film is auratic, but its exhibition value is stronger than art.

What does Benjamin describe as some reactionary ways of resisting the camera’s potential to revolutionise people’s sensibilities?

VIII. The Performance Direct and Mediated: Stage vs. Screen [259]

The artistic performance of a stage actor
- directly presented to the public by the actor in person
- with the opportunity to adjust [and react] to the audience during performance
- allowing the audience to have direct access to performance

The artistic performance of a screen actor
- presented through the technological apparatuses (the camera and the recording one)
- subjected to a series of optical tests (camera views and editing)
- with constantly changing audience taking the position of a critic without experiencing any personal contact with the actor [260]
- The audience’s empathy with the actor is really an empathy with the camera
(the position of the camera = the position of the audience => testing (of work) approach)
not an approach compatible to cult value but commodification of actors and cult of celebrity

What does the camera do to the actor of a film role?
What happens to the real person’s stage presence (an auratic quality if the actor is in front of a live audience in, say, a drama) once the camera captures the performance on film?

IX. The Decay of the Aura as the Effect of Film (Art Bound by Technology) [260]

The actor represents himself before the apparatus. [260]
(He is very often denied the opportunity to identify himself with a role. [261])

The Artificiality of Film:
- The actor operates with his whole living person, yet forgoing/sacrificing its aura. [260]
(The aura is bound to his presence in das Hier und Jetzt —there is no facsimile/replica of the aura.)
- Art is completely subject to or founded in technological reproduction.
(‘the best effects are achieved by “acting” as little acting as possible’ in film. [260])
- An actor as stage props chosen for his typicalness and introduced in the proper context;
His performance split into a series of episodes capable of being assembled [261]

Art has escaped the realm of the ‘beautiful semblance’, which for so long was regarded as the only sphere where art could thrive.

X.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Film Industry Today [261]

Resulting in the loss of the aura of the person:
The feeling of estrangement before one’s appearance in the mirror
- The mirror image has become detachable and transportable from the person mirrored to a site in front of the public, the consumers who constitute the market beyond his reach.
- Film responds to the shrivelling/withering of the aura by artificially building up the ‘personality’ outside the studio.
- The cult of the movie star fostered by the film industry does not preserve the unique aura of the person but the putrid/decaying magic of the personality’s own commodity character.
However, the ease of replication has other advantages:
- Today’s cinema promotes a revolutionary criticism of traditional concepts of art, social conditions, even of property relations. [261-62]
-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on - to be reproduced
(e.g., the newsreel that offers everyone the chance to rise from passer-by to movie extra)
A person might even see himself becoming part of a work of art. Any person today can lay claim to being filmed.
The historical situation of literature today: [262]
- In literary marketplace, the reader gains access to authorship; the distinction between author and public is about to lose its axiomatic character.
- Literary competence is no longer founded on specialised higher education but on polytechnic training, and thus is common property.
In film, shifts that took place in literature over centuries have occurred in a decade. [262]
- The film industry has an overriding interest in stimulating the involvement of the masses through illusionary displays and ambitious speculations. [263]

How does Hollywood hold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film captive to the imperatives of the profit motive?
How does Hollywood create a bogus aura for the actor?
How does capitalism ‘obstruct man’s legitimate claim to being reproduced’?

Benjamin says in Note 29 that Aldous Huxley’s complaint about the production of literary texts is ‘obviously not progressive’. Why? What view of the transmission of literary culture is Huxley upholding in his observation?

XI. Painting vs. Film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263]

The technological equipments and reproducibility have changed the nature of reality and has created new ways of accessing it (deeper and more analytically).
- The equipment-free aspect of reality, difficult to reproduce, has become the height of artifice (the vision of immediate reality has become the Blue Flower in the land of technology).

Painting vs. Film (Film: new and different from the earlier aura-laden art forms)
Magician is to surgeon as painter is to cinematographer/cameraman.
- The enormous difference in the images they obtain: a total image vs. a piecemeal image with its manifold parts being assembled according to a new law [263-64]
- The presentation of reality in film is incomparably the more significant for people of today, since it provides the equipment-free aspect of reality they are entitled to demand from a work of art, and does so precisely on the basis of the most intensive interpenetration of reality with equipment. [264]

XII. The Social Significance of Film Today [264]

The Technological reproducibility of the artwork changes the relation of the masses towards art:
- the masses’ extremely backward/reaction towards a Picasso painting
- the masses’ highly progressive (=positive) reaction to a Chaplin film

Painting—a stand-alone totality; not for collective experience; inviting a viewer to contemplation
Film—lending itself readily to analysis; rendering one to be a critic; overriding contemplation

Popular culture works with hegemonic forces because it is shaped by mass audience’s response in a feedback loop (lack of appreciation of the truly innovative and purposeful art).

An object of simultaneous collective reception/experience:
- Painting by its nature is not; architecture has always been; the epic poem was at one time;
Film is today. [264]
(Film takes over from the epic poem the function that architecture has always played.)
- Collective simultaneous experience, enabled by film, is not possible even in publicly displayed paintings in galleries and salons.

Film enables the masses to organise and regulate their response [264-65]
(Thus, the same public reacts progressively to a slapstick comedy/grotesque film and inevitably displays a backward attitude towards Surrealism.)

How does Benjamin address the way in which the camera changes both the object captured and the viewers’ perceptive capacity?
Do you find Benjamin persuasive when he implies that the future of a technological mode can be glimpsed in the desire it awakens (eg, to reproduce images in an increasingly detailed way—with sound and, ultimately, of course, in colour or with 3D techniques)?

XIII. A Deepening of Apperception by Film [265]

Film: man’s presentation of himself to the camera;
man’s representation of his environment by the camera

Film has enriched our field of perception (Freudian theory of psychoanalysis) through the testing capacity of the equipment (and its increased involvement):
- Analysable things increased throughout the entire spectrum of optical and auditory perception and by distancing from reality (abstraction of perception)
- Film furthers insight into the necessities governing our lives by its use of close-ups, by its accentuation of hidden details in familiar objects, and by its exploration of commonplace milieux through the ingenious guidance of the camera.
- Rapid movement of the camera extends comprehension.
- Film manages to assure us of a vast and unsuspected field of action (travelling).
(With the close-up, space expands; with slow motion, movement is expended. [265])

Through the camera, we first discover the optical unconscious, just as we discover the instinctual unconscious through psychoanalysis. [266]

How does film help overcome the longstanding divide between art and science or technology?

XIV. Shock Effects: Film vs. Dadaism [266]

It has always been one of the primary tasks of art to create a demand whose hour of full satisfaction has not yet come.

Daddaism attempted to produce with the means of painting (or literature) the effects which the public today seeks in film.
- The dadaists attached much less importance to the commercial usefulness of their artworks than to the uselessness of those works as objects of contemplative immersion — a ruthless annihilation of the aura in every object they produced, which they branded as a reproduction through the very means of production (moral shock effect). [266-67]
- Film initiates perception that is involuntary (physical shock effect)

Painting vs. moving images
(contemplation vs. perception which is unconscious, incidental, unreflective but also provides insight into expanded space with close-ups, extended motion with slow motion bursting the prison-world of perception and launching us on “adventurous travelling”)
- “I can no longer think what I want to think. My thoughts have been replaced by moving images.” (Duhamel 1930) [267]

The shock effect seeks to induce heightened attention:
- By means of its technological structure, film has freed the physical shock effect—which Daddaism had kept wrapped, as it were, inside the moral shock effect—from this wrapping.

XV. Reception in a State of Distraction: Architecture and Film [267]

Quantity into Quality:
- The masses are a matrix from which all customary behaviour towards works of art is today emerging newborn.
- The greatly increased mass of participants has produced a different kind of participation.
- The new mode of participation, which first appeared in a disreputable form, was a spectacle which requires no concentration and presupposes no intelligence.

Distraction and concentration [268]
- the ancient lament: the masses seek distraction; art seeks concentration from the spectator.
® moral evaluation of film
- A person who concentrates before a work of art is absorbed by it … .
By contrast, the distracted masses absorb the work of art into themselves.
Distraction of spectacle (consumed by the masses in a state of un-reflection)
vs. Concentration of art (absorption and identification) but What about architecture?

Architecture in terms of Distraction and Concentration
- Architecture has always offered the prototype of an artwork that is received in a state of distraction and through the collective.
® lasting form (unlike historical forms of art such as panel painting)
- Buildings are received by use and by perception, tactilely (by way of habit) and optically (in the form casual noticing).
The sort of distraction provided by art represents a covert measure of the extent which it has become possible to perform new tasks of apperception. Since, moreover, individuals are tempted to evade such tasks, art will tackle the most difficult and most important tasks wherever it is able to mobilise the masses. It does so currently in the film. Film is the true exercise of art today (in 1930s). [268-69]
- Reception in distraction—the sort of reception which is increasingly noticeable in all areas of art and is a symptom of profound changes in apperception—finds in film the true training ground (by virtue of its shock effects). [269]
- The audience is an examiner, but a distracted one.

Why is ‘distraction’ is better than ‘concnetration’ when one is experiencing film or art more generally?
How is it that the masses are able to experience art in a satisfying manner while in what Benjamin calls ‘a state of distraction’?

Epilogue: The Fascist Aestheticising of Politics vs. the Communist Politicising of Art [269]

The increasing proletarianisation of modern man and the increasing formation of masses are two sides of the same processes.

Fascism renders politics aesthetic.
- Fascism attempts to organise the newly proletarianised masses while leaving intact the property relations which they strive to abolish.
- Fascism seeks to give the masses not their right but expression in keeping these property relations unchanged.
- The logical outcome of fascism is an aestheticising of political life
(the Führer cult, apparatus in the service of production of ritual values)
- Only war, in which all efforts to aesthetised politics culminate, makes it possible to mobilise all of today’s technological resources while preserving traditional property relations.
- Fascist glorification of war is the ultimate rendering of politics aesthetic & artistic gratification of a sense perception changed by technology (Futurists celebrate war: see Marinetti’s manifesto)

l’art pour l’art [290]
- Human-kind which once was an object of contemplation for the Olympian gods, has now become one for itself. The self-alienation of art has reached the point where it can experience its own annihilation as a supreme aesthetic pleasure.

Communism politicises art
- Art has no purpose in totalitarian regimes except to organize rituals of public life

In what way does fascism transform politics into aesthetics? (In what sense did Hitler succeed in crafting himself and People into an aesthetic object?)
Why does this transformation lead inexorably to a society organised entirely around the preparation for and waging of war?
How is it possible that human beings can experience war—a profoundly self-destructive act—as pleasurable?
What warning does Benjamin’s analysis of the Nazis’ success in exploiting film’s potential hold for those who concern themselves with art? Do you think that Benjamin’s Marxist claims about the revolutionary power of the movie camera as a mode of ‘technological reproducibility’ are convincing in the light of such abusive treatment by reactionary movements?

Monday, July 24, 2006

영국적임에 대하여(On Englishness)

모든 사물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달리 인식될 수 있지만 영국적인 면만큼 그 이해의 다양성이 존재하는 주제도 드믈 것이다.

amateurism vs. professionalism (Kazuo Ishiguro)
romanticism vs. classicism (J Middleton Murry & DH Lawrence)
conservativism
liberalism and neo-liberalism
the English self-deprecation
the English tea
the English humour
the English language

이 모든 주제가 만만치 않은 논의를 끌어들일 것이다. 이제 한 동안 이를 생각해볼 것이다.

수 년전 내가 처음 영국에 왔을 때 그 첫인상은 바로 시골 부자집에 온 것 같은 느낌이었다. 시골 부자집에는 없는게 없다. 그러나 새것이 별로 없다. 버리고 새로 사기에는 아깝고, 그러나 도회지에 나가보면 새로운 제품들이 눈길을 붙들고.

보수주의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Edmund Burke는 이렇게 말했다. 모든 생명체는 변한다. 변하지 않는 것은 죽은 것밖에는 없다. 우리 인간도 변한다. 그러나 그 변화의 방법으로 그 방향을 외부에서 찾을 것인가 아니면 우리의 과거 전통에서 찾을 것인가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이 소위 영숙적 보수주의의 기본전제이다. 영국적 보수주의를 설명할 적절한 예로는 휴대전화에 대한 그들의 태도가 될 수 있다. 휴대전화 전파가 뇌파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앞으로 10여년이 지나야 구 임상관찰을 통해 유해 혹은 무해가 드러날 것이라고 한다. 영국의 매스컴은 이에 대해 대부분 그간 10년간은 유해한 것으로 간주하는 분위기이다. 그래서 무해가 드러날 때까지는 head set 등을 이용하도록 분위기를 몰고 간다. 반면에 상당한 정도 보수적이라고 자처하는 우리 사회의 많은 구성원들은 유해로 판명날 때까지는 무해하다고 안심하는 경향이 있다. 정치적 견해를 피력할 때는 강하다 싶을 정도로 보수임을 자처하는 우리 상황과는 달리 그들의 부수성은 생활화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감자에 대한 그들의 태도를 들 수 있다. 석회질로서 땅이 척박한 영국이나 아일랜드에는 자랄 수 있는 곡식의 종류에 한계가 있어 이웃 프랑스에 비하면 식탁의 질이 형편 없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식민지 개척자들은 식량혁명을 일으킬 요량으로 지금은 주식이나 다름없고 아무 데서나 잘 자라는 감자을 도입했지만, 한 동안 그들은 이를 거들떠 보지도 않았는데 그 이유는 감자가 성경에서 먹는 작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목사들이 특히나 즐기는 개고기처럼 성경에서 금지하지 않는 음식은 괜찮은 것으로 간주하는 우리와는 퍽이나 다른 정신에서 나온 사고이다. 이와 같은 보수성 때문에 그글은 왠만한 불편은 참아버린다. 못참겠어도 참는다. 그래도 못참겠다면 바꿀 것을 고려하기 시작한다. 그래서 한 정당에 12년 이상씩 정권을 맡기는 일이 생기는 것이다.

Thursday, July 20, 2006

An A to Z of Sussex University Life

(이글 역시 유학시절 홈피를 만들던 후배들을 돕고자 썼던 글인데, 자료 삼아 퍼다논다. http://cafe.daum.net/sussex)

A is for 'Arts Buildings'.
- 인문 사회 과학 분야의 대부분의 학과가 들어서 있는 서로 미로처럼 이어진 다섯 개의 건물. Arts는 중세 대학에서 가르치던 the liberal arts 7 과목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현대식 건축물과 묘한 부조화를 이루는 건물 이름이다. 아침에 유럽(Euro Bar)에서 커피를 마시고 오후에는 미국이나 영국(EAM Bar)의 푹신한 소파에서 영국 차를 즐기며 휴식을 취할 수도 있지만 햇볕이 따사로운 봄, 여름에는 아프리카나 아시아(Afras Bar)의 뜰에서 마시는 커피 맛과 다양한 주제의 대화는 잊을 수 없다.

B is for 'Bramber House'.
- 몇 년 전까지 에코의 소설 '장미의 이름'에 나오는 수도원의 식당을 연상시키는 Refectory라고 불리던 건물. 두 층의 식당과 펍, 바 등이 자리잡고 있지만 서점, 동창회, 우체국, 은행, 식료품 가게 등도 있어서 개명의 필요성이 있었다고 한다. 이제 이 건물을 어떤 이름으로 부르느냐에 따라 대학 사회 내에서 세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어 간다.

C is for 'Crouching Cat, Hidden Campus'.
- 캠퍼스 안 도처에 세워진 건물 배치도. 기숙사와 스포츠 퍼빌리언을 포함한 캠퍼스의 전체 건물의 배치는 앉아 있는 고양이의 모습이지만 이를 알아차리기까지는 적어도 일년은 걸린다. 마음이 착한..., 아니 마음의 여유가 있는 사람에게만 고양이가 보인다. '눈멂'과 '통찰'은 도대체 무슨 관계일까?

D is for 'DPhil'.
- Acronym과 initialism이 뒤섞인 기형적 표현. 영국에는 원래 대학의 제도로서의 박사는 없었고 다만 오늘날의 명예 박사에 해당하는 명칭이 탁월한 업적을 이룬 기성의 학자에게 주어졌다. 그러던 중 미국이나 영연방에서 유학 온 학자들이 다년간 연구를 한 후에도 빈손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불평을 함에 따라서 현재의 박사 학위 제도를 미국에서 1910년대에 도입했다. 이 사실은 영국의 학위가 대륙에서처럼 강의 없이 연구 업적을 평가하여 주어지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영국에서는 박사 학위까지 받아 학자로 남는 것을 능력 부족으로 여기던 분위기가 195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재미있는 일화로는 Harvard에서 철학 박사 논문을 쓰던 중 자료를 준비하러 Oxford에 왔던 시인 Eliot가 논문을 제출하고도 학위를 포기하는 사건이 있다. 아무튼 미국에서 박사를 PhD (Philosophiae Doctor)라고 부르기 때문에 Oxford에서는 DPhil (Doctor of Philosophy)로 불렀고, Oxford와는 달라야 함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Cambridge는 미국에서 사용하는 명칭이어서 불쾌하지만 라틴어라는 점에서 위안을 삼아 PhD로 부르게 된다. Sussex에서는 설립 당시 대학 행정면에서 Oxford를 모델로 삼았다. 일설에 의하면 PhD가 한국에서는 Permanent Head (Brain) Damage 영국에서는 Poverty, Hardship and Deficiency 의 initialism이라 하는데 그렇다면 DPhil은 무엇의 약자일까?

E is for 'Eating like a horse'.
- '먹는 것이 힘이다.' Sussex 한국인 사이에 전해 내려오는 명언 중 하나. '아는 것이 힘'인 지식 권력 사회와는 달리 지식이 권력이 아니고 기본인 유학생의 입장에서는 살기 위해 먹는지 먹기 위해 사는지 분간할 수 없다. 아무튼 먹고 읽고 마시고 쓰다 보면 하루가 가고 또 일년이 간다.

F is for 'Falmer Village'.
- Sussex 대학이 속한 행정구역. 마을 중앙에 한 두 배의 오리 가족들이 한가하게 노니는 연못이 있고 그 연못 한 쪽에는 아담한 교회가 있으며 그 반대편에는 꽤 오래된 목사관이 있는 아름답고 한적한 시골 마을이다. 마을에서 대학으로 내려오는 길목에는 우리 한인 모임을 자주 갖는 펍 Swan Inn이 있다. 삼 대째 가업을 이어오는 자동차 광인 주인은 독신남으로서 맥주 값 계산에는 매우 정확하다.

G is for 'Gardner Art Centre'.
- Gardner라는 사람이 대학에 기증한 아름다운 건물. 평상시에는 외부의 공연, 전시회 등에 대관하고 화제의 영화들도 상영하여 대학 재정의 한 몫을 담당한다. 동계 졸업식이 열리는 건물이다. 이 건물 가까운 지역의 자동차 번호 (신형)도 G로 시작된다 (the Garden of England).

H is for 'Hypocricy'.
영국인들의 속성. 영국 대학에서는 지도교수와의 관계가 논문의 성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된다. 대개 지도교수의 평이 '좋다. 계속해라' 정도라면 스스로 신중하게 평가해야 한다. 이는 어쩌면 '네가 하고 있는 일을 아직 종잡을 수가 없구나'이기가 쉽다. 잘 진전되는 경우에는 대체로 지도교수의 표정이 달라지고 요구 사항이 많아지며 제안과 추천 서적 또한 많아진다. 아무튼 영국에서 'Good!'은 칭찬이 아니다.

I is for 'Interdisciplinarity'.
- 학문의 패러다임이 '지혜 (wisdom)'에서 '지식 (knowledge)'을 거처 '정보 (information)'로 이동해가고 있다면 이 시대는 분명 역사상 새로운 경험이다. 하버마스는 현대성의 한 양상으로 서로 담을 쌓은 학문의 세분화를 들고 있는데 이와 같은 비 순수를 이미 경험한 후 공자, 맹자 혹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지혜'의 추구로 돌아 갈 수는 없는 일이다. 이 상황에서 제시된 대안으로서 '학제적 연구'는 많은 가능성을 보여 왔다. 그러나 그 화려한 외관만큼이나 연구자의 영역은 만만치가 않다. 두 학문 사이의 연구란 양쪽의 전문적 식견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추구하는 일이다. 가령 학위 논문의 경우 그 심사를 양쪽 전문가들이 동시에 하게 되는 경우를 종종 본다. 최근에 성공적으로 통과된 한 한국인의 경제지리학 논문의 경우 지리학자와 경제학자가 심사를 했고 또 최근 실패한 한 일본인의 영문학 논문 (Shelley의 시에 대한 불교적 접근)의 경우 심사위원인 불교 학자가 문제를 제기했다고 한다. 그렇지만 오늘날 각광받는 문화연구, 여성학, EU 연구 등은 모두 학제적 연구 분야들이다.

J is for 'Jack and Jill'.
- 영국에서 사라져 가는 제도로서 결혼. 그와 더불어 '아내', '남편' 등의 어휘도 사라질 운명이다. 그 대신 원래 사업상의 동료인 '파트너'는 새로운 의미를 하나 덧붙여 간다. 이는 이혼율 세계 1위와 더불어서 'Single Mum'에게 주어지는 각종 특혜와 무관하지 않은 사회 현상이다. 그러나 Jill이 Jack없이는 못사는 법인 듯하여 가족 관계에서 'step'이 붙는 표현이 많아지고 나이가 적당히 든 Jill은 'ex-'라는 말을 스스럼없이 많이 쓴다.

K is for 'Koreans at Sussex'.
- Sussex 대학 내 소수 집단 중 하나. EU국가 출신도, 영연방 출신도 아닌 한국인 유학생들의 위상은 다소 초라한 인상이다. 돈 많은 일본인들처럼 영국에서 반기는 것도 아닌데 한국은 영국을 유구한 전통의 나라니 뭐니 하며 짝사랑하는 것은 아닌지.

L is for 'Library'.
- 야트막한 외관과는 달리 의외로 넓은 3층 건물. 120만여권의 장서를 갖춘 개가식 도서관으로 대학의 역사에 비해 19세기와 20세기초에 출판된 책들도 비교적 잘 갖추고 있지만 주변의 많은 명망가들이 죽으면서 기증한 도서들이 그 간극을 계속 채워가고 있다. 한편, 학생이 연구를 위해 원하는 책이 도서관에 없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도서관의 책임이라서 새로 구입을 하거나 구입할 수 없는 경우에는 타 도서관에서 비용을 들여 빌려다 준다. 또한 개가식 도서관의 장점은 필요한 책을 찾으러 서가에 들어갔다가 바로 옆에 꽂힌 책들도 함께 들추어 볼 수 있다는 점인데 그러는 중에 연구의 방향이 보다 세련되어 감을 경험하게 된다.

M is for 'MA or MSc'.- '일년밖에 안되는데 뭘!'하고 덤볐다가 많이들 후회하는 과정. 상대적으로 영어가 서툰 (영국에서의) 첫해에 필독량이 많고 세미나에 공헌해야 할 의무감에 시달리다 보면 어쨌든 한 해가 간다. 석사과정이 한국에서는 중요하게 여겨지지만 영국에서는 대체로 학문을 계속할 것인지 탐색하는 기간 정도로 생각한다. 영국에서도 요즈음은 석사를 권장하는 분위기이지만 학부 졸업 후 바로 박사 연구 과정을 시작할 수도 있다. 석사과정을 일단 시작하면 그 성적은 박사 진학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다. Sussex 혹은 Oxbridge에서 박사를 하려 할 경우는 일정 수준 이상의 성적에 미달할 경우에는 입학이 취소된다. 그래도 영국 학위를 원한다면 외국인에게 특히 관대한 W대학 등이 있으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지만 그 대학에서는 졸업도 쉽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N is for 'Nobel Prize'.
- Sussex 대학과 노벨상의 인연은 큰 편이다. 수상한 전직 혹은 정년 퇴임 Sussex 학자들은 상당수에 이르며 현직으로는 화학과에 한 명이 있다.

O is for 'October'.
- 공부밖에 할 일이 없는 계절의 시작. Brighton에는 절묘하게도 시월이 되면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그것도 매일. 한국에서는 놀기 좋은 봄과 더불어 학기가 시작되어 학문에의 정진이 바로 수양임을 일깨우는데 이 곳에서는 여름 동안 실컷 놀고 어쩔 수 없을 때 공부하는 셈이다.

P is for 'Pond'.
- Sussex 대학 건축가의 집착. 그는 애초에 캠퍼스 중앙에 인공 호수를 만들려고 했으나 재정상 포기를 강요당했다. 그러나 그는 물이 없는 환경에서 학문을 한다는 것을 상상할 수 없었고 궁여지책으로 건물 주변과 사이사이에 연못을 만들기로 했다 한다. 캠퍼스 안에 연못이 몇 개인지를 정확히 아는 데도 아마 일년은 지내야 하지 않을까?

Q is for 'Queer'.
- 전혀 이상하지 않게 여겨지는 동성애. Brighton이 영국에서 동성애로 유명한 만큼 Sussex대학에는 동성애 연구로 유명하다. 게이 교수들과 함께 공부하는 게이 학생들은 사랑으로 무장된 집단이다. 어떤 레즈비언 교수는 남자에게 눈도 마주치지 못할 만큼 수줍음이 많다. 게이나 레즈비언이 이상한 사람들인지 혹은 이들을 이상하게 보는 사람들이 이상한 건지.

R is for 'Red brick'.
- 돌이 없는 Sussex지방의 대표적인 전통적 건축 자재. 자연스럽게 대학 신축 당시 이를 사용하여 'Red brick University'가 Sussex대학의 별명이 되고 나중에는 새로운 대학을 의미하는 보통 명사로 전용되어 붉은 벽돌과는 무관한 Essex, York, Keele, Warwick 대학 등도 같은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

S is for 'Sussex'.
- 'Sir Sex!'가 되지 않도록 발음상 주의를 요하는 이름. Sussex대학에 유학생 자녀를 둔 한국의 많은 부모님들이 자식의 학교를 쉽게 자랑하지 못하는 당혹스러움을 경험하신다. Sussex는 사실 Sex와는 무관(?)하고 원래 Saxon족이 거주하던 영국의 남동부 지방, 즉 Essex, Middlesex, Wessex, Sussex 중에서 South를 의미한다.

T is for 'Tennis'.
- Sussex 한인 사회에서 가장 활발한 스포츠. 원래 한국 테니스 계에서는 고수들이 초보자들을 노예 취급하지만 여기서는 사람이 귀하다 보니 왕초보라도 잘 가르쳐서 데리고 논다.

U is for 'University Ranking'.
- 한국인들의 초미의 관심사. Sussex 대학은 설립 당시부터 전국 5위권을 유지해 왔지만 최근 들어 다소 부진을 면치 못한다. 정부에서는 재정 지원의 자료로 삼기 위해 매 5년마다 교수의 연구 성과와 학생의 졸업률을 조사하는데 학부의 경우에 전국 180여개 대학 중 Sussex 대학은 1996년에 12위였다가 2001년에는 31위로 하락하였다. 그런 와중에도 심리학, 화학, 생물학, 물리학, 응용 수학, 컴퓨터 과학, 일반 공학, 미국학, 영문학, 미술사학, 음악, 교육학, 철학, 사회인류학, SPRU 등의 분야에서는 최상위 평점인 5를 받았다. 특히 2001년 평가에서는 Oxbridge를 제외한 여타 대학들의 경우 특정한 몇몇 분야에서만 상위 평점을 받은데 반해, Sussex는 거의 전 분야에서 5점 이상을 받아, 대학 당국은 물론 학생들도 자랑스러워하고 있다.

V is for 'Viva Voce'.
- 논문 구두 시험. 미국에서는 defence라고 불리는 데 그 저변에 놓인 발상의 차이가 재미있다. 미국 대학에서는 시험관의 '공격'을 요령 것 '방어'할 것을 기대한다면 영국 대학에서는 박사 논문을 완성했다 해도 여전히 시험 대상인 학생에 불과하다. 또 다른 차이로는 미국에서 석사논문을 thesis, 박사논문을 dissertation이라 부르는 데 영국에서는 그 반대의 명칭을 사용한다. 아무튼 논문이 통과되면 'Viva!'

W for 'Woolf'.
- Virginia Woolf. 대학에서 자동차로 20분 정도 떨어진 중농 정도의 마을 Rodmell에 시골집 (런던 밖의 휴가용) Monk's House를 갖게 됨으로써 그녀의 사후에 설립된 Sussex 대학과 인연을 맺게 된다. 그녀가 이 곳에 머무는 동안 신경쇠약의 강박관념으로 동내 앞 Ouse 강에서 자살을 한 후에도 남편 Leonard는 그 집을 계속 유지했으며 문인들과 Virginia 사이의 서신들 중 일부(미간행)를 훗날 대학 도서관에 기증한다. 그녀로 인해 Sussex 대학은 오늘날까지 modernism의 연구가 가장 유명한 대학 중 하나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한편, Monk's House는 지금은 the National Trust의 소유이지만 수요일과 토요일 오후에만 일반인에게 공개된다.

X is for 'Xerox machines'.
- 매사에 정확한 척하는 영국인들은 photocopier라고 부르는 복사기. 한국인들이 처음에는 당황할 수밖에 없는 도서관의 복사비(장당 6p)는 그래도 the British Library보다는 싸다 (면당 20p). 한국에서보다 터무니 없이 비싼 이유는 바로 저작권료 때문이다. 영국에서 학술도서를 저술한 사람은 누구나 매년 저작권료를 각 대학으로부터 학생수에 따라 다르게 받는다고 한다. 현재 총장 협회에서는 이 비용을 줄이려하고 저작권 협회에서는 인상하려 하여 갈등을 겪고 있다. 그래서 도서관 밖의 복사비가 다소 싼 편이다 (5p in Arts D).

Y is for 'Yum-Yum'.
- 맛있는 소리. Brighton시내 North Lane에 있는 중국 식료품 가게 이름이기도 하다. 시내의 한국 식품 가게가 영락을 거듭하는 중에도 이 중국 점은 꿋꿋이 버티고 있어 주목거리이다.

Z is for 'Zest'.
- Last but not least, zest for life! 이 보다 중요한 것이 있을까? 오늘도 해변의 캠퍼스에는 바람이 ... 아니 비가 내린다. 살아야겠다. (무슈 발레리, 표절 미안!)

서섹스대학교(The University of Sussex) 소개

(년전 유학시절 서섹스대학교 한인학생회 홈페이지가 만들어질 때 학교소개를 부탁받고 쓴 글인데 다시 이곳 서섹스에 와보니 아직도 남아 있어 자료삼아 이곳에 옮겨놓는다. http://cafe.daum.net/sussex)

South London이라 불리는 영국 남부 해안의 휴양도시 Brighton의 교외에 위치한 Sussex University는 the South Downs산맥 중 한 완만한 계곡의 울창한 숲 사이에 자리잡고 있다. 1961년8월 16일 개교한 본 대학은 60년대의 the New University Movement (1992년 the Newer Universities 이전 대학 팽창)를 주도한 소위 '붉은 벽돌' 대학(혹은 '통유리 창 대학'Plat-glass Window Univeristy'이라 부르기도 함)의 효시이다. 건축물을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을 강화한다는 영국적 상상력의 산물인 Sussex University의 캠퍼스는 오래된 거목의 가지들이 여름이면 제 힘을 못이겨 부러지곤 하는고풍스런 경관과 새로운 건물이 이루는 독특한 분위기 안에서 학자들과 미래 사회의 주역들이 자연의 일부로서 지적 활동을 즐기는 공간이다. 계곡의 양쪽 야트막한 언덕 위 녹음 사이사이에는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붉은 벽돌 건물들이 각기 '두 문화'의 학제적 접근(interdisciplinarity)이란 대학 설립 정신을 대변한다. Sussex University는 기존 대학들의 한계의 반성으로부터 비롯된다. 19세기 후반에 일기 시작한 '두 문화' 사이의 괴리에 대한 영국 특유의 불안의식은 1930년대에 '학제적'이란 신조어를 생산하고 50년대 말에는 기존 학문 방법론의 반성적 의미로 통용시킨다. 이 시기에 Oxbridge의 일부 학자들의 발의로 '학제적 연구'를 표방한 Sussex University가 설립되자 당시 진보적인 학자들이 '학문의 지도 다시그리기'(Redrawing the Map of Learning) 작업에 참여함으로써 이 대학의 명성과 성공을 오늘까지 이어왔다.

'학제적 연구'는 커리큘럼뿐만 아니라 대학 구조 자체를 독특하게 만든다. 강의가 중심이 될 수밖에 없는 학부 과정에는 기존 학문 분야와 지역학적 접근이 종횡으로 교직하는데, 가령 영국 전체 대학생의 10%가 전공하는 영문학의 경우는 The School of European Studies, The School of English and American Studies, The School of Asian and African Studies, The School of Cultural and Community Studies 등에서 각각 다른 각도에서 접근한다. 반면에 연구 중심인 대학원은 학문간의 접촉에서 비롯되는 새로운 영역의 개척을 추구한다. 예를들면,인문 과학과 자연 과학의 성공적인 접촉으로 알려진 The School of Cognitive and Computer Sciences는 이분야 학자들 사이에 가장 선호하는 기관으로 성장했고, 학부 과정 없이 대학원만 존재하는 IDS (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와 SPRU(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search Unit)는 세계적 명성으로인해 이제는 이름의 수정도 불가능하게 되었다. 인문 사회 과학 분야의 학제적 접근은 EU 지역학 연구의 독보적 위치에 있는 SEI (Sussex European Institue)와 진보적 사상의 연구로 유명한 SPT (Social and Political Thought)과정, 그리고 Women's Studies 과정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Sussex University에 나름의 어려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학제적 연구'가 정착되자 영국 뿐만아니라 많은 미국의 대학들의 보편적 학문 연구 방법론이 됨으로써 Sussex University의 신선함은 많이 퇴색하여 새로운 변경 개척하기가 당면 과제이다. 또한 대학의 명성과 입지 조건 때문에 명문 기숙 학교 출신 학생의 비율이 전국 7위에 달함에 따라 진보적 이미지가 사라지는 정체성의 위기까지 맞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ussex University는 실험정신이란 모태에서 탄생하여 현실에 안주할 수 없는 운명이다. 최근 생명 과학의 변경에서 의욕적으로 시도하는 Genome Stability Centre는 그 한 예가 된다. 한국 학계에 Sussex University의 인지도가 그다지 높은 것은 아니지만 한국과의 인연은 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학 초창기에는 기성 학자들이 연구를 위해 방문했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IDS에서 1년간 연구년을 보낸 전 서울대 경제학과 조순 교수와 영문과에서 Joseph Conrad를 연구한 서울대 이상옥 교수가 있다. 최근에는 조선대 총장 양형일 교수가 SPRU에서 그리고 단국대 조명래 교수가 SEI에서 연구년을 보냈다. 학위 과정에는 한국 여성학 분야를 개척한 이화여대 장필화 교수가 DPhil학위를 초창기에 취득했고 최근에 Sussex University의 독특한 접근법이 한국 학계에 알려지면서 음악, 순수 과학, 인문학 등 전분야에 걸쳐 한국 유학들이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에도 학위 과정과 연구과정에 30여명의 한국인들이있어서 대학원 전체의 외국인 학생 비율 60% 중 일정한 몫을 차지한다.